05-22 에스더 9:20 - 10:3
페이지 정보
Author 관리자1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작성일25-05-22 07:59 조회 Read14,408회 댓글 Reply0건관련링크
본문
2025-05-22 부림에 대한 일
본문 : 에스더(Esther) 9:20 - 10:3 찬송가 179장
20 모르드개가 이 일을 기록하고 아하수에로 왕의 각 지방에 있는 모든 유다인에게 원근을 막론하고 글을 보내어 이르기를
21 한 규례를 세워 해마다 아달월 십사일과 십오일을 지키라
22 이 달 이 날에 유다인들이 대적에게서 벗어나서 평안함을 얻어 슬픔이 변하여 기쁨이 되고 애통이 변하여 길한 날이 되었으니 이 두 날을 지켜 잔치를 베풀고 즐기며 서로 예물을 주며 가난한 자를 구제하라 하매
23 유다인이 자기들이 이미 시작한 대로 또한 모르드개가 보낸 글대로 계속하여 행하였으니
24 곧 아각 사람 함므다다의 아들 모든 유다인의 대적 하만이 유다인을 진멸하기를 꾀하고 부르 곧 제비를 뽑아 그들을 죽이고 멸하려 하였으나
25 에스더가 왕 앞에 나아감으로 말미암아 왕이 조서를 내려 하만이 유다인을 해하려던 악한 꾀를 그의 머리에 돌려보내어 하만과 그의 여러 아들을 나무에 달게 하였으므로
26 무리가 부르의 이름을 따라 이 두 날을 부림이라 하고 유다인이 이 글의 모든 말과 이 일에 보고 당한 것으로 말미암아
27 뜻을 정하고 자기들과 자손과 자기들과 화합한 자들이 해마다 그 기록하고 정해 놓은 때 이 두 날을 이어서 지켜 폐하지 아니하기로 작정하고
28 각 지방, 각 읍, 각 집에서 대대로 이 두 날을 기념하여 지키되 이 부림일을 유다인 중에서 폐하지 않게 하고 그들의 후손들이 계속해서 기념하게 하였더라
29 아비하일의 딸 왕후 에스더와 유다인 모르드개가 전권으로 글을 쓰고 부림에 대한 이 둘째 편지를 굳게 지키게 하되
30 화평하고 진실한 말로 편지를 써서 아하수에로의 나라 백이십칠 지방에 있는 유다 모든 사람에게 보내어
31 정한 기간에 이 부림일을 지키게 하였으니 이는 유다인 모르드개와 왕후 에스더가 명령한 바와 유다인이 금식하며 부르짖은 것으로 말미암아 자기와 자기 자손을 위하여 정한 바가 있음이더라
32 에스더의 명령이 이 부림에 대한 일을 견고하게 하였고 그 일이 책에 기록되었더라
1 아하수에로 왕이 그의 본토와 바다 섬들로 하여금 조공을 바치게 하였더라
2 왕의 능력 있는 모든 행적과 모르드개를 높여 존귀하게 한 사적이 메대와 바사 왕들의 일기에 기록되지 아니하였느냐
3 유다인 모르드개가 아하수에로 왕의 다음이 되고 유다인 중에 크게 존경받고 그의 허다한 형제에게 사랑을 받고 그의 백성의 이익을 도모하며 그의 모든 종족을 안위하였더라
요약: 모르드개와 에스더의 편지로 부림절은 이스라엘이 지켜야 할 새로운 절기가 되었습니다. ‘부림절’은 하만의 주사위 ‘부르’에서 유래한 말입니다.
하나님은 어떤 분입니까?
전체 에스더서의 하나님은 끝까지 모습을 드러내지 않으십니다. 바다가 갈라지고 태양이 멈추는 기적도 없습니다. 하지만 소소한 일상과 우연이 씨줄과 날줄처럼 얽혀 반전과 역전을 만들어냈습니다. 베옷과 재를 뒤집어쓰고 금식하던 슬픔이 기쁨과 축제로 뒤집혔습니다. 학살의 날이 구원의 날이 되었습니다. 도리어 페르시아 안에 도사리던 적들을 제거하여 그 땅에서 안식을 얻은 날이 되었습니다. 이날은 ‘부림절’이라는 유다인의 명절로 지정됩니다. 즐거이 잔치하며 기념할 뿐 아니라, 서로 예물을 주며 가난한 자를 구제함으로써 값없이 받은 은혜를 실천하는 날입니다. 하나님은 보이지 않고 우리 시야를 둘러싼 세상의 제도가 우리 운명을 좌지우지하는 듯하지만, 그 어떤 것도 우리를 “예수 안에 있는 하나님의 사랑에서 끊을 수” 없습니다(롬 8:39).
내게 주시는 교훈은 무엇입니까?
24-26절 ‘부림절’이라는 이름은 유다 민족을 진멸할 날을 정하기 위해 하만이 사용했던 주사위 ‘부르’에서 나왔습니다. 하나님은 우상숭배자의 주사위 놀이조차 자신의 계획 속에 두셨습니다. 내 삶을 겁박하는 세상의 모든 ‘부르’를 찬송과 간증의 ‘부림절’로 뒤집으실 반전의 역사를 소망합시다.29-32절 에스더는 부림절 준수가 얼마나 중요한지 확증합니다. 유다인들이 죽음의 위기 앞에서 자발적으로 울며 회개하고 간구하였듯이, 이 부림절도 자원하는 마음으로 지키라고 명령합니다. 우리의 구원이 완성될 때까지 구원을 기억하고 기념하는 영적인 부림절은 예배와 구제와 섬김을 통해 계속 준수되어야 합니다.10:1-3 아하수에로의 나라는 하만이 다스릴 때보다 모르드개가 다스릴 때 더욱 번영을 누립니다. 사적인 관심에만 몰두하던 아하수에로왕과 탐욕에 눈이 먼 하만과 달리, 하나님의 사람 모르드개는 백성의 이익을 먼저 생각하고 그의 모든 종족의 안위(샬롬)를 먼저 생각합니다. 우리도 어려운 시절을 지나는 교회와 사회에서 모르드개처럼 사람들을 이롭게 하며 안위하는 사람이 되기를 소망합시다.
기도
공동체-공동체의 샬롬을 추구하는 성도로 살게 하소서.
열방-케냐 성공회와 가톨릭교회는 출처가 불분명한 정치적 기부금을 거부하기로 했다. 케냐 교회들이 윤리적 청렴함과 신앙적 거룩함 가운데 더욱 성장하도록
Remember the Day of Salvation 구원의 날을 기억하라
Summing up[ Esther 9:20 - 10:3 ](Hymn179)20And Mordecai recorded these things and sent letters to all the Jews who were in all the provinces of King Ahasuerus, both near and far,21 obliging them to keep the fourteenth day of the month Adar and also the fifteenth day of the same, year by year,22 as the days on which the Jews got relief from their enemies, and as the month that had been turned for them from sorrow into gladness and from mourning into a holiday; that they should make them days of feasting and gladness, days for sending gifts of food to one another and gifts to the poor.23 So the Jews accepted what they had started to do, and what Mordecai had written to them.24 For Haman the Agagite, the son of Hammedatha, the enemy of all the Jews, had plotted against the Jews to destroy them, and had cast Pur (that is, cast lots), to crush and to destroy them.25 But when it came before the king, he gave orders in writing that his evil plan that he had devised against the Jews should return on his own head, and that he and his sons should be hanged on the gallows.26 Therefore they called these days Purim, after the term Pur. Therefore, because of all that was written in this letter, and of what they had faced in this matter, and of what had happened to them,27 the Jews firmly obligated themselves and their offspring and all who joined them, that without fail they would keep these two days according to what was written and at the time appointed every year,28 that these days should be remembered and kept throughout every generation, in every clan, province, and city, and that these days of Purim should never fall into disuse among the Jews, nor should the commemoration of these days cease among their descendants.29 Then Queen Esther, the daughter of Abihail, and Mordecai the Jew gave full written authority, confirming this second letter about Purim.30 Letters were sent to all the Jews, to the127 provinces of the kingdom of Ahasuerus, in words of peace and truth,31 that these days of Purim should be observed at their appointed seasons, as Mordecai the Jew and Queen Esther obligated them, and as they had obligated themselves and their offspring, with regard to their fasts and their lamenting.32 The command of Esther confirmed these practices of Purim, and it was recorded in writing.1 King Ahasuerus imposed tax on the land and on the coastlands of the sea.2 And all the acts of his power and might, and the full account of the high honor of Mordecai, to which the king advanced him, are they not written in the Book of the Chronicles of the kings of Media and Persia?3 For Mordecai the Jew was second in rank to King Ahasuerus, and he was great among the Jews and popular with the multitude of his brothers, for he sought the welfare of his people and spoke peace to all his people.
20모르드개는 이 모든 사건을 다 기록하여 두었다. 그는 또, 멀든지 가깝든지, 아하수에로 왕이 다스리는 모든 지방에 사는 유다 사람들에게 글을 보내서,21 해마다 아달월 십사일과 십오일을 명절로 지키도록 지시하였다.22 그 날에 유다 사람이 원수들의 손에서 벗어났으며, 그 날에 유다 사람의 슬픔이 기쁨으로 바뀌었고, 초상날이 잔칫날로 바뀌었으므로, 모르드개는 그 이틀 동안을, 잔치를 벌이면서 기뻐하는 명절로 정하고, 서로 음식을 나누어 먹고, 가난한 사람들에게 선물을 주는 날로 지키도록 지시하였다.23 그래서 유다 사람들은, 모르드개가 그들에게 글로 써서 지시한 대로, 자기들이 시작한 그 명절을 해마다 지켰다.24 유다 사람의 원수 아각의 자손 함므다다의 아들 하만은, 유다 사람들을 죽여 없애려고, 주사위의 일종인 부르를 던져서, 유다 사람들을 다 없앨 날을 받았으나,25 에스더가 그 음모를 왕 앞에 말하니, 왕은 하만이 유다 사람을 해치려고 꾸민 악한 흉계가 하만 자신에게 돌아가도록 하고, 하만뿐만 아니라 그의 모든 아들까지도 장대에 매달도록, 글로 써서 조서를 내렸다.26 그래서 주사위의 일종인 부르라는 말을 따라, 이 두 날을 불러서 부림이라고 하였다. 이 모든 사건은, 유다 사람 스스로가 직접 보고 겪은 것이며, 모르드개의 글에도 적혀 있는 것이다.27 그래서 그들은 이 두 날을, 그들과 자손과 그들에게 귀화하는 모든 사람이, 해마다 정해진 때에, 글에 적혀 있는 대로, 반드시 지켜야 하는 명절로 삼았다.28 이 두 날은, 유다 사람이면, 어느 지방 어느 성읍에 살든지, 모든 집안마다 대대로 기억하고 지켜야 하는 날이다. 이틀 동안 계속되는 부림절은 유다 사람들로서는 거를 수 없는 명절이 되고, 자손에게도 잊어서는 안 되는 날이 되었다.29 아비하일의 딸 에스더 왕후는, 유다 사람 모르드개와 함께, 전권을 가지고 두 번째로 편지를 써서, 부림절을 확정하였다.30 위로와 격려의 말이 담긴 그 편지는, 아하수에로 왕국 백스물일곱 지방에 사는 모든 유다 사람들에게 발송되었다.31 이 편지는 이틀 동안 계속되는 부림절을 확정짓는 것이다. 이것은 유다 사람 모르드개와 에스더 왕후가 지시한 것일 뿐만 아니라, 유다 사람들 스스로도 기꺼이 부림절을 명절로 확정하고, 그 자손들도 그 때가 되면, 금식하며, 슬피 울면서 지키도록 하였다.32 부림절에 관한 규정은, 에스더의 명령으로 이렇게 확정되고, 그것은 글로 기록되었다.1 아하수에로 왕은, 본토뿐 아니라, 바다 건너 여러 섬에도 조공을 바치라고 명령하였다.2 그가 그 막강한 힘과 권력을 가지고 이룬 모든 업적과, 모르드개에게 높은 벼슬을 주어서 영화롭게 한 모든 내용이, 메대와 페르시아의 왕조실록에 기록되어서 전하여 온다.3 유다 사람 모르드개는 아하수에로 왕 다음으로 실권이 있었다. 그는 유다 사람들 사이에서 존경을 받았다. 특히 자기 백성이 잘 되도록 꾀하였고, 유다 사람들이 안전하게 살도록 애썼으므로, 같은 겨레인 유다 사람은 모두 그를 좋아하였다.
Who is God like?
Thinking & Understanding
Mordecai recorded all the events and instructed the Jews in Persia to observe the 14th and 15th days of the month of Adar as a holiday. The people of Judah decided to call the day ‘Purim’ because Haman had cast Pur (lots) to destroy them, but failed ultimately. Esther and Mordecai officially established this name. The people of Judah celebrated Purim for generations, alongside the Passover, making it one of the key celebrations of Israel's deliverance from their adversaries. Mordecai continued to serve on behalf of the people of Judah, and was well-respected and admired (9:20-10:3).
모르드개는 모든 사건을 기록하고, 페르시아의 모든 유다 백성이 이 날을 기억하도록 아달월 14, 15일을 명절로 지키도록 지시합니다. 유다 백성들은 하만이 부르를 던진 것을 본떠서 이날을 부림이라 불렀고, 후에 에스더와 모르드개가 공식적으로 부림절로 명명하여 칙령으로 공포합니다. 유다 백성은 대대손손 이 절기를 지켰고, 유월절과 함께 이스라엘이 이방 땅에서 구원받은 것을 기념하는 대표적인 절기가 됩니다. 이후에도 모르드개는 유다 백성들을 위해 애썼고, 백성들은 모두 그를 존경하고 좋아했습니다(9:20-10:3).
What lesson is God teaching me?
9:21-22 On this newly established celebratory day, people were encouraged to share the joy of salvation by exchanging gifts and caring for those in need. The miraculous grace of Christ's redemption through the cross and resurrection is something we should continuously celebrate. How do you celebrate the saving grace that brought us from the dead, and how do you share the joy you find in it?
새로운 절기로 정해진 이 축제일에는 서로 선물을 주고받고 어려운 이웃을 돌아보며 구원의 기쁨을 함께 나누도록 합니다. 십자가와 부활을 통한 그리스도의 구속은 우리가 늘 기억하며 지켜야 할 기적 같은 은혜입니다. 우리를 죽음에서 살려주신 구원의 은혜를 어떻게 기념하고, 그 감격을 어떻게 나누고 있습니까?
10:1-3 Life returned to normal for the empire and its people. The political order became stable, and prosperity flourished due to proper tax systems that were established. The people of Judah also found peace and rest. This was the result of God’s sovereignty as well as the dedication and hard work of those who relied on God, revealing his presence throughout their lives.
제국과 백성의 일상이 정상화됩니다. 이제는 합법적인 조세 제도로 국가와 정치 질서가 안정되고 풍요로워집니다. 또한 유다 사람도 평화와 안식을 얻습니다. 하나님의 돌보시는 손길이고, 보이지 않는 하나님을 삶으로 살아내고 드러낸 사람들의 헌신과 수고의 결과입니다.
Prayer
God, you turn the tables and transform what was intended for evil into good. Strengthen our faith and help us confront the unjust world with godly confidence.
댓글목록 Reply List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There is no repl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