05-21 에스더 9:1 - 9:19
페이지 정보
Author 관리자1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작성일25-05-21 07:08 조회 Read16,063회 댓글 Reply0건관련링크
본문
2025-05-21 승리와 축제와 안식
본문 : 에스더(Esther) 9:1 - 9:19 찬송가 350장
1 아달월 곧 열두째 달 십삼일은 왕의 어명을 시행하게 된 날이라 유다인의 대적들이 그들을 제거하기를 바랐더니 유다인이 도리어 자기들을 미워하는 자들을 제거하게 된 그 날에
2 유다인들이 아하수에로 왕의 각 지방, 각 읍에 모여 자기들을 해하고자 한 자를 죽이려 하니 모든 민족이 그들을 두려워하여 능히 막을 자가 없고
3 각 지방 모든 지방관과 대신들과 총독들과 왕의 사무를 보는 자들이 모르드개를 두려워하므로 다 유다인을 도우니
4 모르드개가 왕궁에서 존귀하여 점점 창대하매 이 사람 모르드개의 명성이 각 지방에 퍼지더라
5 유다인이 칼로 그 모든 대적들을 쳐서 도륙하고 진멸하고 자기를 미워하는 자에게 마음대로 행하고
6 유다인이 또 도성 수산에서 오백 명을 죽이고 진멸하고
7 또 바산다다와 달본과 아스바다와
8 보라다와 아달리야와 아리다다와
9 바마스다와 아리새와 아리대와 왜사다
10 곧 함므다다의 손자요 유다인의 대적 하만의 열 아들을 죽였으나 그들의 재산에는 손을 대지 아니하였더라
11 그 날에 도성 수산에서 도륙한 자의 수효를 왕께 아뢰니
12 왕이 왕후 에스더에게 이르되 유다인이 도성 수산에서 이미 오백 명을 죽이고 멸하고 또 하만의 열 아들을 죽였으니 왕의 다른 지방에서는 어떠하였겠느냐 이제 그대의 소청이 무엇이냐 곧 허락하겠노라 그대의 요구가 무엇이냐 또한 시행하겠노라 하니
13 에스더가 이르되 왕이 만일 좋게 여기시면 수산에 사는 유다인들이 내일도 오늘 조서대로 행하게 하시고 하만의 열 아들의 시체를 나무에 매달게 하소서 하니
14 왕이 그대로 행하기를 허락하고 조서를 수산에 내리니 하만의 열 아들의 시체가 매달리니라
15 아달월 십사일에도 수산에 있는 유다인이 모여 또 삼백 명을 수산에서 도륙하되 그들의 재산에는 손을 대지 아니하였고
16 왕의 각 지방에 있는 다른 유다인들이 모여 스스로 생명을 보호하여 대적들에게서 벗어나며 자기들을 미워하는 자 칠만 오천 명을 도륙하되 그들의 재산에는 손을 대지 아니하였더라
17 아달월 십삼일에 그 일을 행하였고 십사일에 쉬며 그 날에 잔치를 베풀어 즐겼고
18 수산에 사는 유다인들은 십삼일과 십사일에 모였고 십오일에 쉬며 이 날에 잔치를 베풀어 즐긴지라
19 그러므로 시골의 유다인 곧 성이 없는 고을고을에 사는 자들이 아달월 십사일을 명절로 삼아 잔치를 베풀고 즐기며 서로 예물을 주더라
요약: 두 조서가 시행되는 날 유다인들은 각처에서 자신의 대적을 이기고 축제와 안식을 즐깁니다. 하지만 하만이 자랑하던 열 아들은 죽어 매달리는 수치를 당합니다.
하나님은 어떤 분입니까?
1-5절 하만의 조서와 모르드개의 조서가 동시에 이행되는 날이 밝습니다. 죽은 하만의 편에 서서 유다인을 공격하려는 이들이 있지만, 페르시아에 사는 대부분의 민족들은 유다인의 편에 섭니다. 유다인들에게 임한 극적 반전을 목격했기 때문입니다. 유다인들의 배후에서 일하시는 하나님의 능력과 기적을 감지하고 두려움과 공포에 사로잡힌 것입니다. 에스더서의 하나님은 철저히 숨어 계시지만, 결코 숨길 수 없는 능력을 드러내십니다. 그 하나님이 오늘 우리 삶의 배후에 임재해 계십니다.
내게 주시는 교훈은 무엇입니까?
5-15절 하만이 자랑스럽게 여기던(5:11) 열 아들들이 죽임당하고, 하만을 따르던 수산궁의 500명도 조서에 기록된 대로 멸절됩니다. 아들들의 이름이 낱낱이 열거된 것은 이것이 단순한 감정적인 복수가 아니라, 아말렉의 진멸을 예고한 예언의 성취임을 강조한 듯합니다(민 24:20). 에스더가 하루를 더 얻어 유다인의 대적들을 더 제거하고 열 아들들의 시체를 높이 달게 한 것은, 유다인들을 해하는 자들의 말로가 어떤 것인지 보여줌으로써 잠재적인 위험까지 근절하고 아말렉에 대한 철저한 진멸을 성취하려는 뜻일 것입니다. 사탄과의 영적 싸움이 얼마나 철저해야 하고, 얼마나 약속에 의지하여 순종해야 하는 싸움인지 보여줍니다.10,15,16절 조서대로 하면 재산을 탈취할 수 있지만(8:11), 유다인들은 자발적으로 재산에 손을 대지 않습니다. 이 싸움이 사무엘상 15장의 싸움의 연장선에 있음을 알았기 때문일 것입니다. 사울은 전쟁에서 이기고도 전리품을 취함으로 하나님께 불순종하여 버림받았지만, 유다인들은 전리품을 취하지 않음으로 이 전쟁이 철저히 하나님의 전쟁이 되게 했습니다.16-19절 유다인들은 수산성뿐 아니라 제국의 각 도에서도 대적자들에게서 자신을 보호하기 위해 전투를 벌였는데, 무려 7만5000명을 쳤습니다. 사망의 날이 될 뻔했던 그날이 생명과 축제와 안식의 날이 되었습니다. 우리의 절망과 탄식도 생기 있는 찬양과 간증으로 뒤바꾸실 하나님의 역사를 기대합시다.
기도
공동체-선한 싸움에서 주만 의지하여 승리의 기쁨과 안식을 누리는 날을 맞게 하소서.
열방-최근 8년간 케냐에서 언론에 보도된 여성 살인 사건이 500건을 넘었다. 케냐에서 갈수록 심각해지고 있는 여성 살인 문제에 대한 경각심이 높아지고, 여성 보호 대책이 마련되도록
Victory and Festivals 승리와 축제
Summing up[ Esther 9:1 - 9:19 ](Hymn350)
1Now in the twelfth month, which is the month of Adar, on the thirteenth day of the same, when the king’s command and edict were about to be carried out, on the very day when the enemies of the Jews hoped to gain the mastery over them, the reverse occurred: the Jews gained mastery over those who hated them.2 The Jews gathered in their cities throughout all the provinces of King Ahasuerus to lay hands on those who sought their harm. And no one could stand against them, for the fear of them had fallen on all peoples.3 All the officials of the provinces and the satraps and the governors and the royal agents also helped the Jews, for the fear of Mordecai had fallen on them.4 For Mordecai was great in the king’s house, and his fame spread throughout all the provinces, for the man Mordecai grew more and more powerful.5 The Jews struck all their enemies with the sword, killing and destroying them, and did as they pleased to those who hated them.6 In Susa the citadel itself the Jews killed and destroyed500 men,7 and also killed Parshandatha and Dalphon and Aspatha8 and Poratha and Adalia and Aridatha9 and Parmashta and Arisai and Aridai and Vaizatha,10 the ten sons of Haman the son of Hammedatha, the enemy of the Jews, but they laid no hand on the plunder.11 That very day the number of those killed in Susa the citadel was reported to the king.12 And the king said to Queen Esther, “In Susa the citadel the Jews have killed and destroyed500 men and also the ten sons of Haman. What then have they done in the rest of the king’s provinces! Now what is your wish? It shall be granted you. And what further is your request? It shall be fulfilled.”13 And Esther said, “If it please the king, let the Jews who are in Susa be allowed tomorrow also to do according to this day’s edict. And let the ten sons of Haman be hanged on the gallows.”14 So the king commanded this to be done. A decree was issued in Susa, and the ten sons of Haman were hanged.15 The Jews who were in Susa gathered also on the fourteenth day of the month of Adar and they killed300 men in Susa, but they laid no hands on the plunder.16 Now the rest of the Jews who were in the king’s provinces also gathered to defend their lives, and got relief from their enemies and killed75,000 of those who hated them, but they laid no hands on the plunder.17 This was on the thirteenth day of the month of Adar, and on the fourteenth day they rested and made that a day of feasting and gladness.18 But the Jews who were in Susa gathered on the thirteenth day and on the fourteenth, and rested on the fifteenth day, making that a day of feasting and gladness.19 Therefore the Jews of the villages, who live in the rural towns, hold the fourteenth day of the month of Adar as a day for gladness and feasting, as a holiday, and as a day on which they send gifts of food to one another.
1열두째 달인 아달월 십삼일, 드디어 왕이 내린 명령과 조서대로 시행하는 날이 되었다. 이 날은, 본래 유다 사람의 원수들이 유다 사람을 없애려고 한 날인데, 오히려 유다 사람이 자기들을 미워하는 자들을 없애는 날로 바뀌었다.2 아하수에로 왕이 다스리는 모든 지방의 각 성읍에 사는 유다 사람들은, 성읍별로 모여서, 자기들을 해치려고 한 자들을 공격하였다. 모든 민족이 그들을 두려워하였으므로, 아무도 막을 수 없었다.3 각 지방의 대신들과 제후들과 총독들과 왕의 행정관리들은, 모르드개가 무서워서도 유다 사람들을 도왔다.4 당시 모르드개는, 왕궁에서 실권을 잡고 있었고, 그의 세력은 날로 더하여 갔으며, 그의 명성은 전국 방방곡곡에 퍼졌다.5 유다 사람들은 그들의 원수를 다 칼로 쳐 죽여 없앴으며, 자기들을 미워하는 자들에게, 하고 싶은 대로 다 하였다.6 유다 사람들은 도성 수산에서만도 그런 자들을 오백 명이나 처형하였다.7 바산다다와 달본과 아스바다와8 보라다와 아달리야와 아리다다와9 바마스다와 아리새와 아리대와 왜사다와10 곧 유다 사람의 원수요 함므다다의 아들인 하만의 열 아들도 죽였다. 유다 사람들은 그들을 죽이기는 하였지만, 그들의 재산은 빼앗지 않았다.11 도성 수산에서 죽은 사람의 수는 그 날로 왕에게 보고되었다.12 왕이 에스더 왕후에게 말하였다. “유다 사람들은 도성 수산에서만도 그들의 원수를 오백 명이나 죽였고, 하만의 열 아들도 다 죽였소. 그러니 나머지 다른 지방에서야 오죽하였겠소? 이제 당신의 남은 소청이 무엇이오? 내가 그대로 들어주리다. 당신의 요구가 또 무엇이오? 당신이 바라는 대로 하여 주겠소.”13 에스더가 대답하였다. “임금님께서만 좋으시다면, 수산에 있는 유다 사람들이 내일도 오늘처럼 이 조서대로 시행하도록 하여 주십시오. 그리고 하만의 열 아들의 주검은 장대에 매달아 주십시오.”14 왕은 그렇게 하라고 명령을 내렸다. 수산에는 조서가 내렸고, 하만의 열 아들의 주검은 장대에 매달렸다.15 수산의 유다 사람들은 아달월 십사일에 한 곳에 모여서, 수산에서만도 삼백 명을 죽였으나, 역시 재산은 빼앗지 않았다.16 그러는 동안에, 왕이 다스리는 각 지방에 있는 나머지 유다 사람들도, 지방별로 함께 모여서 조직을 정비하고, 자체 방어에 들어갔다. 그들은 원수들을 무려 칠만 오천 명이나 죽였으나, 역시 재산은 빼앗지 않았다.17 이 일이 일어난 것은 아달월 십삼일이었다. 십사일에는 쉬면서, 그 날을, 잔치를 하면서 기뻐하는 날로 삼았다.18 그러나 수산에 사는 유다 사람들은, 십삼일과 십사일에 모여 일을 벌였으므로, 십오일에는 쉬면서, 그 날을 잔치를 하면서 기뻐하는 날로 삼았다.19 성벽이 없는 여러 마을에 사는 유다 사람들이 아달월 십사일을 명절로 정하고, 즐겁게 잔치를 벌이면서, 서로 음식을 나누어 먹은 까닭도 바로 이것이다.
Who is God like?
Thinking & Understanding
The day of reckoning between the two conflicting decrees came. The people of Judah fought against their enemies in every province of the empire. In the city of Susa alone, the Jews defended themselves and killed five hundred of their enemies, including Haman's ten sons (vv. 1-12). Esther petitioned for one more day to carry out the destruction of the remaining enemies. The ten sons of Haman were hanged on a pole for public display (vv. 13-16). The people of Judah refrained from taking any of their enemies’ possessions. The 14th and 15th days of the month of Adar were established as a Jewish holiday for celebration and feasting (vv. 17-19).
두 개의 상반된 조서가 시행되는 결전의 날입니다. 유다 백성들은 제국의 모든 지방에서 원수들을 공격합니다. 수산성에서만 오백 명을 처형하고, 하만의 열 아들도 죽입니다(1-12절). 에스더는 왕에게 하루의 시간을 더 요청해 대적들을 완전히 소탕하고, 하만의 열 아들을 장대에 매달아 공개합니다(13-16절). 유다 백성은 원수의 재산에는 손을 대지 않았습니다. 잔치가 벌어진 14-15일은 유대인의 명절로 지정될 것입니다(17-19절).
Who is God?
Vv. 17-19 God transformed what could have been a day of annihilation into a day of celebration. The people of Judah, saved from doom, feasted and rejoiced both in the city and throughout the countryside, sharing gifts with one another. This event, known as the Purim, became a feast of God's deliverance and victory for the Jews. Similarly, reflect on how God has turned what was intended for evil into good. Take this time to view your life, your community, and even history through God's perspective. Can you sense his good, wise, and providential hand at work?
진멸의 날이 될 뻔한 그날을 축제의 날로 바꾸십니다. 멸망할 위기에서 벗어난 유다 백성은 도성 안팎, 지방 곳곳에서 잔치를 베풀고 즐기며 서로 예물을 건넵니다. 하나님이 베푸신 구원과 승리를 기뻐하며 기념하기 위한 잔치입니다. 내 인생과 공동체, 세상 역사를 하나님의 시각으로 다시 해석해 보십시오. 주의 선하고 지혜로운 섭리의 손길이 느껴지지 않습니까?
What lesson is God teaching me?
Vv. 10,15-16 The people of Judah chose not to use their victory as an opportunity to feed their greed and refrained from plunder. They showed remarkable restraint, becoming a testament to the righteousness of their self-defence, as they resisted the urge for retribution or material reward. May we be more cautious of the greed within us than the external threats we face.
유다 백성은 전쟁의 승리를 탐욕을 채울 기회로 삼지 않았습니다. 그들은 놀랍도록 절제력을 발휘했습니다. 이는 어디까지나 방어와 보호를 위한 정당성 있는 항전이지, 감정적인 보복이나 약탈을 위한 전쟁이 아님을 보여줍니다. 눈앞의 대적보다 내 안의 탐욕을 경계해야 합니다.
Prayer
Lord God, help me abandon any selfish desire and self-interest. Help me serve you and your people with a pure heart.
댓글목록 Reply List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There is no repl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