04-09 누가복음(Luke) 20:41 - 21:4
페이지 정보
Author 관리자1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작성일25-04-09 00:25 조회 Read7,580회 댓글 Reply1건관련링크
본문
2025-04-09 서기관과 과부
본문 : 누가복음(Luke) 20:41 - 21:4 찬송가 15장
41 예수께서 그들에게 이르시되 사람들이 어찌하여 그리스도를 다윗의 자손이라 하느냐
42 시편에 다윗이 친히 말하였으되 주께서 내 주께 이르시되
43 내가 네 원수를 네 발등상으로 삼을 때까지 내 우편에 앉았으라 하셨도다 하였느니라
44 그런즉 다윗이 그리스도를 주라 칭하였으니 어찌 그의 자손이 되겠느냐 하시니라
45 모든 백성이 들을 때에 예수께서 그 제자들에게 이르시되
46 긴 옷을 입고 다니는 것을 원하며 시장에서 문안 받는 것과 회당의 높은 자리와 잔치의 윗자리를 좋아하는 서기관들을 삼가라
47 그들은 과부의 가산을 삼키며 외식으로 길게 기도하니 그들이 더 엄중한 심판을 받으리라 하시니라
1 예수께서 눈을 들어 부자들이 헌금함에 헌금 넣는 것을 보시고
2 또 어떤 가난한 과부가 두 렙돈 넣는 것을 보시고
3 이르시되 내가 참으로 너희에게 말하노니 이 가난한 과부가 다른 모든 사람보다 많이 넣었도다
4 저들은 그 풍족한 중에서 헌금을 넣었거니와 이 과부는 그 가난한 중에서 자기가 가지고 있는 생활비 전부를 넣었느니라 하시니라
요약: 예수님은 당시 사람들의 메시아에 대한 협소한 이해를 교정하신 후, 위선적이고 탐욕적인 서기관과 희생적이고 헌신적인 과부를 대조하며 참 제자의 길을 가르치십니다.
예수님은 어떤 분입니까?
41-44절 시편(110:1)을 인용하여 그리스도가 다윗의 자손일 뿐 아니라 다윗의 주(主)도 되심을 환기시키며, 성전을 중심으로 고착된 그리스도에 대한 편협한 이해를 바로잡으십니다. 그리스도께서 다윗의 자손으로 오셨지만 그렇게만 알면 그분을 혈통적인 이스라엘만을 위해 오신 정치적, 군사적 메시아로 오해할 수 있었습니다. 예수님을 메시아로 고백하면서도 고난받는 예수님은 거부한 베드로에게서도 볼 수 있듯이, 가장 경계해야 하는 것이 예수님에 대한 몰이해와 불신앙입니다. 그릇된 욕망이 바탕이 된 그릇된 이해는 예수님과 그분의 사역을 곡해할 수 있습니다. 성경이 증언하는 예수가 아니라 내가 원하고 내게 필요한 예수를 만들어 신봉한다면 그것은 또 다른 우상숭배입니다.21:1-4 주목받기 원하던 서기관이나 거액을 투척하는 부자들 사이로 조심스럽게 두 렙돈을 드리는 여인을 주목하십니다. 바리새인의 자랑이 아니라 세리의 상한 심령을 받으셨던 것처럼(18:14), 서기관의 위선적인 기도는 거절하셨지만 과부의 진심 어린 헌물은 받으시고, 부자가 낸 많은 돈보다 과부가 낸 두 렙돈을 더 많은 헌물로 인정해주십니다. 주님이 보시는 것은 액수가 아니라 마음입니다. 내 것이라고 여기는 태도가 아니라 무엇을 드려도 충분하지 않다는 마음을 받으십니다. 돈이 위세를 떨치며 세상을 황폐하게 만드는 시대에, 돈의 주권을 하나님께(20:25, 하나님의 것은 하나님께) 돌려드리고 있습니까?
내게 주시는 교훈은 무엇입니까?
45-47절 서기관들로 대표되는 당대의 종교권력자들은 자신의 신분을 나타내는 특별한 옷을 입어 존재감을 과시했고, 회당의 높은 자리에 앉아 특별한 지위를 뽐냈으며, 잔칫집에서는 주인과 가장 가까운 자리만 찾아 대접을 받았습니다. 게다가 돌봄의 대상인 과부를 착취의 대상으로 삼을 만큼 비정했으며, 긴 기도로 경건을 가장할 만큼 위선적이었습니다. 그럴듯한 모습으로 사람들을 속였더라도 하나님의 엄중한 판결만은 피하지 못할 것입니다. 신앙과 경건은 보여주는 것이 아니라 드러나는 것임을 기억하며 경건한 사람처럼 보이기 위해 노력하지 말고, 경건한 사람이 되기 위해 노력합시다.
기도
공동체-자신을 드러내는 종교인이 아니라 자신을 던지는 신앙인으로 살아가기를 원합니다.
열방-인도와 파키스탄의 대기오염 수준이 심각해지면서 호흡기 질환자가 속출하고 있다. 특히 심각한 피해를 받을 것으로 예상되는 도시 내 빈민들에게 적실한 의료 혜택이 제공되도록
The Greatest Offering 가장 큰 헌신
Summing up[ Luke 20:41 - 21:4 ](Hymn15)
41But he said to them, “How can they say that the Christ is David’s son?42 For David himself says in the Book of Psalms, “‘The Lord said to my Lord, “Sit at my right hand,43 until I make your enemies your footstool.”’44 David thus calls him Lord, so how is he his son?”45 And in the hearing of all the people he said to his disciples,46 “Beware of the scribes, who like to walk around in long robes, and love greetings in the marketplaces and the best seats in the synagogues and the places of honor at feasts,47 who devour widows’ houses and for a pretense make long prayers. They will receive the greater condemnation.”21 :1Jesus looked up and saw the rich putting their gifts into the offering box,2 and he saw a poor widow put in two small copper coins.3 And he said, “Truly, I tell you, this poor widow has put in more than all of them.4 For they all contributed out of their abundance, but she out of her poverty put in all she had to live on.”
41예수께서 그들에게 말씀하셨다. “어떻게 사람들이 그리스도를 다윗의 자손이라고 하느냐?42 다윗이 친히 시편에서 말하기를 ‘주님께서 내 주께 말씀하셨다.43 내가 네 원수들을 네 발 아래에 굴복시킬 때까지, 너는 내 오른쪽에 앉아 있어라’ 하였다.44 다윗이 그리스도를 주라고 불렀는데, 어떻게 그가 다윗의 자손이 되겠느냐?”45 모든 백성이 듣고 있는 가운데, 예수께서는 자기 제자들에게 말씀하셨다.46 “율법학자들을 조심하여라. 그들은 예복을 입고 다니기를 원하고, 장터에서 인사 받는 것과 회당에서 높은 자리와 잔치에서 윗자리를 좋아한다.47 그들은 과부들의 가산을 삼키고, 남에게 보이려고 길게 기도한다. 그들은 더 엄한 심판을 받을 것이다.”21 :1예수께서 눈을 들어 부자들이 헌금궤에 헌금 넣는 것을 보시고,2 또 어떤 가난한 과부가 거기에 렙돈 두 닢을 넣는 것을 보셨다.3 그래서 예수께서는 말씀하셨다. “내가 진정으로 너희에게 말한다. 이 가난한 과부가 누구보다도 더 많이 넣었다.4 저 사람들은 다 넉넉한 가운데서 자기들의 헌금을 넣었지만, 이 과부는 구차한 가운데서 가지고 있는 생활비 전부를 털어 넣었다.”
Who is God like?
Thinking & Understanding
Jesus quoted a psalm (Ps. 110:1) to expose the religious leaders' wrong way of thinking about David and the Messiah. They thought of the Messiah as a political figure that would come as a descendant of David, but Jesus revealed that the Messiah was of divine origin—he was the Lord of David (20:41-44). He then warned his disciples against the hypocrisy of the scribes: their problem was pride, which produced self-centredness. Later, he saw the rich and a widow putting their gifts into the offering box, and he declared the poor widow had given more than anyone else. This was because even though she only had two pieces of silver, she gave all she had gladly (20:45-21:4).
예수님은 시편 말씀을 통해(시 110:1) 종교지도자들의 오해를 드러내십니다. 그들은 메시아를 다윗의 자손으로 오는 정치적 인물이라 생각하지만, 예수님은 메시아가 다윗의 주이신 신적 존재임을 밝히십니다(20:41-44). 이어서 제자들에게 율법학자들의 위선적인 태도를 경계하십니다. 그들의 문제는 자만이며, 자만은 자기중심적인 삶을 만들어 냅니다. 또 부자들과 과부가 헌금하는 모습을 보시고, 가난한 과부가 누구보다 많이 드렸다고 평가하십니다. 비록 렙돈 두 닢뿐이었지만 가지고 있는 전부를 드렸기 때문입니다(20:45-21:4).Who is Jesus?20:41-44 Jesus corrects people's false understanding of Christ. Jesus did not come to recreate a physical kingdom of David in the land of Israel for the Jews. Instead, he came to establish the kingdom of God for all. Am I standing in expectation of Jesus and the great things he will accomplish?
사람들의 그릇된 ‘그리스도에 대한 이해’를 바로잡으셨습니다. 예수님은 이스라엘 땅에 유대인만을 위한 다윗의 나라를 재현하러 오신 것이 아니라, 온 세상 모든 인류를 위한 하나님 나라를 세우러 오셨습니다. 나는 위대한 일을 이루실 예수님께 걸맞은 위대한 기대를 가지고 있습니까?
21:1-4 When Jesus saw the widow's offering, he praised her. It was easy for people to be impressed and admire how much the wealthy gave, but Jesus noticed the total commitment of the poor widow. He saw her heart—not the amount. Even today, Jesus is on the lookout for genuine faith and loving commitment toward God.
과부의 헌금 넣는 것을 보시고 칭찬하십니다. 사람들의 시선은 부요하고 중요한 사람들의 헌신에 이끌리기 쉽지만, 예수님은 가난한 과부의 전적인 헌신을 눈여겨보셨습니다. 액수가 아니라 태도를 보신 것입니다. 예수님은 오늘도 하나님에 대한 진실한 믿음과 사랑의 헌신을 눈여겨보십니다.
What lesson is God teaching me?
Prayer
Dear God, guard us against the arrogance and hypocrisy of thinking like the scribes and help us to learn from the devotion of the poor widow.
댓글목록 Reply List
관리자1님의 댓글
관리자1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Date
47 그들은 과부의 가산을 삼키며 외식으로 길게 기도하니 그들이 더 엄중한 심판을 받으리라 하시니라
47 who devour widows’ houses and for a pretense make long prayers. They will receive the greater condemnation.
긴 기도가 위선에서 나온다는것에 생각이 멈춘다. 나의 기도의 문제점을 발견한 듯 하다.
두 렙돈을 드린 과부는 자기 소유의 모든 것을 드렸는데, 나의 마음을 다해 하나님께 드렸는지 반성이 된다.
보여주는 신앙이 아니라 드러나는 신앙인지 되돌아본다.
율법처럼 굳어지는것은 아닌지, 나의 기대가 엉뚱한 방향인지, 나의 영적 훈련이 위선인지 돌아보는 하루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