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0-22 역대하 30:13 - 30:27
페이지 정보
작성자 Author 관리자1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작성일 Date25-10-21 22:43 조회 Read31회 댓글 Reply1건관련링크 Link
본문
2025-10-22 예루살렘의 큰 기쁨
본문 : 역대하(2 Chronicles) 30:13 - 30:27 찬송가 331장
13 둘째 달에 백성이 무교절을 지키려 하여 예루살렘에 많이 모이니 매우 큰 모임이라
14 무리가 일어나 예루살렘에 있는 제단과 향단들을 모두 제거하여 기드론 시내에 던지고
15 둘째 달 열넷째 날에 유월절 양을 잡으니 제사장과 레위 사람이 부끄러워하여 성결하게 하고 번제물을 가지고 여호와의 전에 이르러
16 규례대로 각각 자기들의 처소에 서고 하나님의 사람 모세의 율법을 따라 제사장들이 레위 사람의 손에서 피를 받아 뿌리니라
17 회중 가운데 많은 사람이 자신들을 성결하게 하지 못하였으므로 레위 사람들이 모든 부정한 사람을 위하여 유월절 양을 잡아 그들로 여호와 앞에서 성결하게 하였으나
18 에브라임과 므낫세와 잇사갈과 스불론의 많은 무리는 자기들을 깨끗하게 하지 아니하고 유월절 양을 먹어 기록한 규례를 어긴지라 히스기야가 그들을 위하여 기도하여 이르되 선하신 여호와여 사하옵소서
19 결심하고 하나님 곧 그의 조상들의 하나님 여호와를 구하는 사람은 누구든지 비록 성소의 결례대로 스스로 깨끗하게 못하였을지라도 사하옵소서 하였더니
20 여호와께서 히스기야의 기도를 들으시고 백성을 고치셨더라
21 예루살렘에 모인 이스라엘 자손이 크게 즐거워하며 칠 일 동안 무교절을 지켰고 레위 사람들과 제사장들은 날마다 여호와를 칭송하며 큰 소리 나는 악기를 울려 여호와를 찬양하였으며
22 히스기야는 여호와를 섬기는 일에 능숙한 모든 레위 사람들을 위로하였더라 이와 같이 절기 칠 일 동안에 무리가 먹으며 화목제를 드리고 그의 조상들의 하나님 여호와께 감사하였더라
23 온 회중이 다시 칠 일을 지키기로 결의하고 이에 또 칠 일을 즐겁게 지켰더라
24 유다 왕 히스기야가 수송아지 천 마리와 양 칠천 마리를 회중에게 주었고 방백들은 수송아지 천 마리와 양 만 마리를 회중에게 주었으며 자신들을 성결하게 한 제사장들도 많았더라
25 유다 온 회중과 제사장들과 레위 사람들과 이스라엘에서 온 모든 회중과 이스라엘 땅에서 나온 나그네들과 유다에 사는 나그네들이 다 즐거워하였으므로
26 예루살렘에 큰 기쁨이 있었으니 이스라엘 왕 다윗의 아들 솔로몬 때로부터 이러한 기쁨이 예루살렘에 없었더라
27 그 때에 제사장들과 레위 사람들이 일어나서 백성을 위하여 축복하였으니 그 소리가 하늘에 들리고 그 기도가 여호와의 거룩한 처소 하늘에 이르렀더라
요약: 히스기야는 유다와 이스라엘의 모든 백성과 함께 유월절 절기를 지켰습니다. 절기를 칠 일 더 연장할 정도로 예루살렘에는 큰 기쁨이 넘쳤습니다.
하나님은 어떤 분입니까?
17-20절 회개의 기도를 들으시고 죄 사하기를 기뻐하십니다. 북이스라엘에서 온 이들 중 일부가 성결 절차 없이 유월절 양을 먹음으로 율법을 어겼습니다. 히스기야가 그들을 위해 기도하자, 하나님은 규례에 익숙하지 않은 그들의 형편과 예배하려는 그들의 마음을 헤아리시고 용서해 주셨습니다. 내 형편과 본심을 헤아리시는 하나님께 고백해야 할 죄는 무엇입니까?
내게 주시는 교훈은 무엇입니까?
13-16절 유월절을 지키기 위해 예루살렘에 모인 회중이 단결하여 아하스왕이 세운 우상의 기구들을 제거했습니다. 먼저 하나님께 온전히 예배드리지 못하게 만드는 요소를 제거함으로 유월절 절기를 준비한 것입니다. 개혁의 시작은 죄를 깨닫고 하나님이 기뻐하시지 않는 것을 없애는 것에서부터 시작합니다. 하나님께 나아가는 길을 막는 것이 무엇인지 돌아보며 제거해 나가는 성결을 위한 싸움을 게을리하지 맙시다.21-22절 유월절 후 무교절을 지키는 칠 일 동안 하나님을 향한 감사의 찬양이 날마다 계속되었습니다. 받은 용서와 회복의 기쁨을 하나님께 시와 찬양으로 돌려드린 것입니다. 찬양은 하나님이 우리를 위해 행하신 일들을 고백하며 감사와 기쁨을 아뢰는 일입니다. 하나님이 주신 구원의 기쁨과 예배의 감격을 누리면 누릴수록 찬양은 더욱 풍성해집니다. 하나님을 찬양하면 할수록 하나님의 은혜를 누리는 감격과 하나님을 알아 가는 즐거움이 더 커질 것입니다.23-27절 유월절과 무교절을 지키는 기쁨이 어찌나 큰지, 온 백성은 절기를 칠 일 연장했습니다. 절기 내내 예루살렘에는 큰 기쁨이 있었습니다. 이 기쁨은 남유다와 북이스라엘뿐 아니라 온 땅의 나그네까지 아우르는 거국적인 기쁨이었습니다. 회중은 마음을 다해 예배드리며 하나님을 찬양했고, 제사장들과 레위인들은 하늘에 이를 정도로 회중을 한껏 축복했습니다. 그야말로 ‘온 이스라엘’(5절)의 잔치이자 기쁨이었습니다. 모두 함께 하나님 앞에서 즐거워하는 것, 소외되는 사람 없이 모두 주 안에서 하나되는 것이 개혁의 절정입니다.
기도
공동체-하나님을 예배하는 영광과 하나님과 교제하는 기쁨을 모든 이와 함께 누리게 하소서.
열방-튀니지 정부가 반체제 인사들에 대한 탄압을 강화하면서 0.1%에도 못 미치는 그리스도인까지 불안에 휩싸이고 있다. 탄압 속에서도 튀니지 교회가 신실하게 신앙을 지켜 나가도록
Passover Festival 유월절 축제
Summing up[ 2 Chronicles 30:13 - 30:27 ](Hymn331)13And many people came together in Jerusalem to keep the Feast of Unleavened Bread in the second month, a very great assembly.14 They set to work and removed the altars that were in Jerusalem, and all the altars for burning incense they took away and threw into the brook Kidron.15 And they slaughtered the Passover lamb on the fourteenth day of the second month. And the priests and the Levites were ashamed, so that they consecrated themselves and brought burnt offerings into the house of the LORD.16 They took their accustomed posts according to the Law of Moses the man of God. The priests threw the blood that they received from the hand of the Levites.17 For there were many in the assembly who had not consecrated themselves. Therefore the Levites had to slaughter the Passover lamb for everyone who was not clean, to consecrate it to the LORD.18 For a majority of the people, many of them from Ephraim, Manasseh, Issachar, and Zebulun, had not cleansed themselves, yet they ate the Passover otherwise than as prescribed. For Hezekiah had prayed for them, saying, “May the good LORD pardon everyone19 who sets his heart to seek God, the LORD, the God of his fathers, even though not according to the sanctuary's rules of cleanness.”20 And the LORD heard Hezekiah and healed the people.21 And the people of Israel who were present at Jerusalem kept the Feast of Unleavened Bread seven days with great gladness, and the Levites and the priests praised the LORD day by day, singing with all their might to the LORD.22 And Hezekiah spoke encouragingly to all the Levites who showed good skill in the service of the LORD. So they ate the food of the festival for seven days, sacrificing peace offerings and giving thanks to the LORD, the God of their fathers.23 Then the whole assembly agreed together to keep the feast for another seven days. So they kept it for another seven days with gladness.24 For Hezekiah king of Judah gave the assembly1,000 bulls and7,000 sheep for offerings, and the princes gave the assembly1,000 bulls and10,000 sheep. And the priests consecrated themselves in great numbers.25 The whole assembly of Judah, and the priests and the Levites, and the whole assembly that came out of Israel, and the sojourners who came out of the land of Israel, and the sojourners who lived in Judah, rejoiced.26 So there was great joy in Jerusalem, for since the time of Solomon the son of David king of Israel there had been nothing like this in Jerusalem.27 Then the priests and the Levites arose and blessed the people, and their voice was heard, and their prayer came to his holy habitation in heaven.
Who is God like?
Thinking & Understanding
The people gathered in Jerusalem and prepared for the Passover by tearing down the remaining idol altars. Since many in the congregation had not undergone the required purification ceremony, the Levites slaughtered the Passover lambs on their behalf. Some of the Israelites ate the Passover lamb while still ceremonially unclean, so Hezekiah interceded for them, asking God to forgive them and allow their worship (cf. Ex. 12:3-6) (vv. 13-20). After observing the Feast of Unleavened Bread for a week following the Passover, the people remained in Jerusalem for seven more days and continued worshipping God (vv. 21-27).
예루살렘에 모인 백성들이 남아 있는 우상 제단을 철거하며 유월절을 준비합니다. 회중 가운데 성결 예식을 치르지 못한 사람이 많아, 레위 사람들이 그들 대신 유월절 양을 잡았습니다. 예배에 참석한 일부 사람들이 부정한 상태로 유월절 양을 먹자 히스기야가 그들 대신 하나님께 용서를 구하여 예배를 드릴 수 있게 해 줍니다(13-20절; 참조. 출 12:3-6). 백성들은 유월절 다음 날부터 일주일간 이어지는 무교절까지 지키고 난 후에도, 예루살렘에 7일을 더 머물며 계속해서 하나님을 예배합니다(21-27절).
What lesson is God teaching me?
Vv. 13-17 Those who were not holy among the congregation were made holy by the blood of the Passover lamb. This highlights that holiness is an essential condition for truly worshipping God. The Passover festival could only begin after the temple, the city, the priests, and the people were consecrated. How much attention am I giving to the importance of holiness in my own life?
회중 가운데서도 성결치 못한 이들을 유월절 양의 피로 성결케 합니다. 이처럼 하나님을 예배하는 일에 있어서 성결은 필수 조건입니다. 성전과 도성과 제사장과 온 회중이 모두 성결해진 후에 비로소 유월절 축제를 시작할 수 있었습니다. 나는 성결에 얼마나 큰 관심을 기울이고 있습니까?
Vv. 18-20 We must be careful not to rashly condemn those who come to God simply because they do not conform to the traditions or culture of the church. At the same time, there are moments when wise and firm judgment is necessary to uphold the holiness and sanctification of the faith community. Even so, we need to seek to understand the true spirit of the law, which calls us to prioritise love and grace toward our brothers and sisters before passing judgment. Let us humbly examine our hearts toward those who have sinned.
교회의 전통과 문화에 어긋난다고 해서 하나님께 나온 사람을 함부로 비난하면 안 됩니다. 신앙 공동체의 거룩과 성결을 위해 엄격한 판단이 필요할 때도 있지만, 형제에 대한 관용과 사랑을 우선시하는 것이 율법의 참 의미를 아는 것입니다. 무심코 범죄한 지체를 대하는 우리 태도를 점검해 보십시오.
Prayer
Dear God, bless us with the joy of fellowship, that we may delight in the community you have given us.
댓글목록 Reply List
관리자1님의 댓글
관리자1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작성일
20 여호와께서 히스기야의 기도를 들으시고 백성을 고치셨더라.
20 And the LORD heard Hezekiah and healed the people
하나님을 버렸던 국가적인 죄를 어떻하면 회개하고 회복할 수 있었을까? 성결을 최우선으로 모든 제단, 향단을 제거하고 버리고 제사장, 레위사람들을 성결하게하고, 번제물을 가지고 하나님의 전에 나아간다. 그리고 회중 가운데 성결하지 못한 부정한 사람을 위하여 왕 히스기야가 기도한다. 선하신 하나님 용서해주소서, 결심하고 하나님을 구하는 자는 비록 스스로 성결하지 못하였을지라도 용서하소서. 하나님은 기도를 들으시고 백성들을 고치셨다.
얼마나 감격적인 순간인가? 성결의 큰 기쁨, 큰 즐거움, 큰 감사함이 넘쳐서 끊임없이 찬양하고 감사예배를 드렸다. 왕의 기도의 진실함이 하나님을 감동시킨것이 아닐까? 예루살렘이 부어주신 이 은혜가 기록됨이 참 감사하고 위로가 된다. 하나님을 향한 나의 마음과 영혼이 성결한가? 진심으로 나는 구원의 감격과 감사함으로 하나님께 나아가고 있는가? 하나님을 깊이 알아가고 경험하는 삶을 통해 큰 기쁨과 감사를 드리는 하루되기.